Ecological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Research LAB
Research
Green infrastructure spatial planning considering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and trade-off analysis through Exploring social-ecological system resilience
사회-생태계 복원력 탐색을 통한 생태계 서비스 평가 및 트레이드 오프 분석을 고려한 그린 인프라 공간 계획
2024 ~ 2024
에코어 혁신융합대학사업 연구지원사업
Research on Waste Reduction in Tourism for Sustainable Marine Tourism
지속가능한 해양 관광을 위한 관광 쓰레기 저감 연구
2023 ~ 2024
국제기관간MOU지원사업
Pre-planning and feasibilit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green SOC in Siheung Valley
시흥계곡 방재그린 SOC 조성 사전기획 및 타당성 검토 용역
2023 ~ 2023
금천구청
Diagnosis of impaired stream/river ecosystem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훼손원인 진단 연구
2023 ~ 2024
국립환경과학원
Research on Waste Reduction in Tourism for Sustainable Marine Tourism
지속가능한 해양 관광을 위한 관광 쓰레기 저감 연구
2023 ~ 2024
Ecological Environment Survey and Health Assessment Services for the Daecheong and Buan Multipurpose Dams
대청‧부안 다목적댐 생태환경조사 및 건강성 평가 용역
2023 ~ 2024
한국수자원공사
Assessment technology on securing and managing climate resilience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환경기반시설 기후탄력성 확보 평가.관리 기술
2022 ~ 2028
한국환경산업기술원
Development of rural regeneration index using living area diagnostic index
생활권 진단지표를 활용한 농촌재생 지수 개발
2022 ~ 2026
농촌진흥청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forest park system
산림공원제도 도입 추진방안 연구
2022 ~ 2022
산림청
Diagnosis of impaired stream/river ecosystem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훼손원인 진단 연구
2022 ~ 2023
국립환경과학원
Green Infrastructure Performance & Urban Community Resilience
그린인프라스트럭처 퍼포먼스와 도시 커뮤니티 리질리언스의 관계 규명
2022 ~ 2023
고려대학교
Encouraging Tourist Waste Management Behavior for Sustainable Island Tourism: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Qualitative Interviews and Field Experiment
지속가능한 도서관광을 위한 관광객 섬 쓰레기 수거 참여 유도: 심층면접법과 현장실험의 혼합방법 연구
2022 ~ 2022
(재)정석물류학술재단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Network System Response to Fine-dust Pollution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2021 ~ 2022
고려대학교
Development of eco-friendly landscape design technology for healthcare plant production complex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 친환경.경관설계 기술개발
2021 ~ 2025
농촌진흥청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tream/river ecosystem by watershed environmental change at tributaries in Han River water system
유역환경 변화에 따른 한강수계 지류지천 수생태계 훼손원인 진단 및 관리방안 마련
2021 ~ 2021
한강수계관리위원회
Developing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s by prediction model in watershed habitat based on aquatic material cycle
수생태계 물질 순환에 기반한 생태계 서식환경 예측 및 그린 인프라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
2021 ~ 2023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사업
Survey of pond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Han River Basin
2021년 호소환경 생태조사(팔당호 등 10개 호소)
2021 ~ 2022
한강유역환경청
Survey of pond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의 호소 환경과 생태계 조사
2021 ~ 2022
낙동강유역환경청
Survey of pond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의 호소 환경과 생태계 조사
2020 ~ 2021
낙동강유역환경청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tream/river ecosystem by watershed environmental change at tributaries in Han River water system
유역환경 변화에 따른 한강수계 지류지천 수생태계 훼손원인 진단 및 관리방안 마련
2018 ~ 2019
한강수계관리위원회
Development for socialecological-technological system to improve urban resilience: Based on community garden
현재 도시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Social, ecological, technological system 구현방안: 커뮤니티가든을 중심으로
2018 ~ 2022
한국연구재단
Changnyeong Upo Wetland for Ramsar Wetland application
창녕 우포늪 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신청
2017
창녕 우포늪 생태관광협회
Stream/River ecosystem survey and health assessment
하천수생태계 조사 및 평가
2017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by biotope restoration of Mujechi Wetland
무제치늪 소생물권(Biotop) 복원을 통한 생태계서비스 평가
2017
낙동강유역환경청
Study of techniqu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ing of garden guideline to spread out practical garden
실용정원 확산을 위한 정원조성 기술개발 및 산업화 연구
2016 ~ 2017
산림청
Research of ecotourism revitalization in Gyeonggi-do province
경기생태관광활성화를 위한 연구
2015 ~ 2016
경기관광공사
Development of low carbon landscape design elements using system dynamics focused on urban waterfront areas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도시내 저탄소경관 디자인요소 개발: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2013 ~ 2016
한국연구재단
Decision making process for wetlands creation to improve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based on system thinking
생태계서비스 가치향상을 위한 인공습지 조성에 관한 의사결정체계 제안: 시스템적 사고를 바탕으로
2013 ~ 2016
한국연구재단
A stud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for suporting pilot project of local government adaptation implementation planning
기초지자체 적응 세부시행계획 수립 시범사업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연구
20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 study on present condition of biodiversity and pollution for biotop mapping
과천시 생태현황도 작성 및 생물다양성, 오염현황 연구
2012 ~ 2013
과천시
Selecting the wetland replacement site for sustainable landscape planning using landscape ecology pattern indices
지속가능한 조경계획을 위한 대체습지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경관지수를 활용하여
2012 ~ 2013
한국연구재단
A feasibility study on Upo Insect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project
우포 곤충어드벤처관 건립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
2012
창녕군청
Development of wetland construction and ecosystem rehabilitation technologie
습지생태계 조성 및 자연생태 회복 기술 개발
2011 ~ 2013
한국환경산업기술원
Perception and Formation of Sense of Place on City Squares,
도시 광장에 대한 인식과 장소성 형성에 관한 연구
2011 ~ 2012
고려대학교 단과대학 특별연구비
Investigations of representative landscapes and waterfront planning for rural waterfront villages
농촌 수변마을 대표경관 발굴 및 수변 공간계획
2011 ~ 2012
농촌진흥청
Excavating Representative Landscapes in Rural Riverside Town and Waterfront Planning.
농촌 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수변 공간 계획 지원 구축
2010
농촌진흥청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Urban forest evaluation and monitoring technology
도시숲 개발 및 관리: 도시산림평가 및 모니터링 기술
2009 ~ 2010
산림청
Collecting the Weather Information Using Ubiquitous Meteorological Sensor and Modeling for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유비쿼터스 기상센서 이용 기상 정보 수집 및 열환경분석 모델링
2008 ~ 2010
한국환경기술진흥원
Diagnosis and development plan for Pleasant learning environment of Korea Univ. landscape
쾌적한 교육환경을 위한 고려대학교 캠퍼스 조경의 진단 및 발전 방안
2007
고려대학교
Development of a Collaborativ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Ecological Planning in Urban Area
도심지내 친환경적 생태 공간 조성방법 개발을 위한 산학연 현장교육 프로그램개발
2006 ~ 2007
고려대학교
Aesthetic Responses to Urban Greenway Trail Environments
Aesthetic Responses to Urban Greenway Trail Environments
2006 ~ 2007
고려대학교
Development of wetland eco-parks using ecological resources (insects and plants) from abandoned cultivated lands in rural areas
(협동) 농촌지역 폐경지의 생태자원(곤충 및 식물)을 활용한 습지생태원 조성기술 개발
2006
농림기술관리센터